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 top10 배당금 관련된 정보는 투자설명서와 홈페이지에 나와있다. 근데 용어나 표현방식이 어려워서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하는데 초점을 두겠다.
용어 설명
집합투자기구는 펀드이다.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 top10는 펀드 중에서도 ETF 상품이다. FnGuide 시장가격 지수를 추종하는 ETF라고 되어있는데, FnGuide는 기업들의 수치 정보를 분석해서 금융기관에 제공하는 기업이다. 그래서 미래에셋이 FnGuide으로부터 상업은행 중에 3년 연속 현금배당을 하는 금융주 상위 10개 기업을 받아서 ETF 상품으로 만든 것이다.
배당금 분배금 차이
배당금은 개별 주식이 제공하는 것, 분배금은 ETF 상품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개별 주식이 배당을 주는건 다 아는 사실이고, ETF는 개별 주식을 한데 모은 것이기 때문에 각 주식으로 배당받아서 투자자들한테 분배하는 거라서 분배금이라고 한다. 분배금은 하나의 과정이 더 추가될 뿐이지 사실 그 돈이 그 돈이다.
가장 큰 차이라고 하면 지급 방식이 다르다는 것. 지급 주기와 일정이 다를 수 있다.
본 내용에서는 분배금을 배당금으로 표현하고, 이와 관련된 모든 파생 용어도 전부 배당으로 설명하겠다.
배당일과 배당금
아래 표는 배당일에 따른 배당금액을 표현한 것이다.
지급기준일 | 실제지급일 | 배당금액(원) | 주당과세표준액(원) |
---|---|---|---|
2025-02-28 | 2025-03-05 | 73 | 16 |
2025-01-31 | 2025-02-04 | 73 | 0 |
2024-12-30 | 2025-01-03 | 73 | 61 |
2024-11-29 | 2024-12-03 | 73 | 73 |
2024-10-31 | 2024-11-04 | 73 | 73 |
2024-09-30 | 2024-10-04 | 61 | 61 |
2024-08-30 | 2024-09-03 | 61 | 61 |
2024-07-31 | 2024-08-02 | 61 | 61 |
2024-06-28 | 2024-07-02 | 61 | 61 |
2024-05-31 | 2024-06-04 | 61 | 61 |
2024-04-30 | 2024-05-03 | 61 | 61 |
2024-03-29 | 2024-04-02 | 61 | 61 |
2024-02-29 | 2024-03-05 | 61 | 61 |
2024-01-31 | 2024-02-02 | 61 | 14 |
추가로 설명하면, 배당일은 배당이 실제로 지급되는 날짜이다. 그래서 실제지급일이 곧 배당일. 지급기준일은 배당이 결정되는 날짜에 불과하다.
주당과세표준액은 세금을 매기는 대상을 얘기한다. 최근 날짜를 보면 배당금은 73원인데 과세표준액은 16원이다. 73원 중에서 16원에 대해서만 세금을 매긴다는 뜻. 0원도 존재하는데 이건 비과세라는 뜻이다.
ETF도 주식이라서 세금을 내는게 당연한데 아주 특별하게 비과세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별도 포스팅을 참고하자.
지급기준일은 매월 마지막 영업일 혹은 회계기간 종료일로 결정된다. 그래서 표를 보면 대부분 월말이 지급기준일로 되어있다.
실제지급일은 지급기준일 다음날로부터 7영업일 이내로 결정된다. 7일 안으로 자유롭게 지급되는 것이다.
배당락
ETF는 배당이 아니고 분배이기 때문에 배당락을 분배락이라고 표현하는게 맞다. 그러나 여기서는 배당락이고 표현하겠다.
개별 주식에서 배당락은 지급기준일 이전 3영업일인데,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 top10에서 배당락은 지급 기준일 1영업일 전에 발생한다.
배당락은 배당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것을 얘기하고, 배당락일은 배당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이다. 이 날 이전에 ETF를 매수하면 배당을 받는 것이고, 이 날 이후에 매수하면 못받는다.
이 날은 기업에서 배당을 주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손실을 얘기하는거라서 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보인다.
배당율
실제 연간 배당율은 5.7% 정도이다. 25년 3월 현재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 top10 주가가 13,790원 정도되는데, 여기에 5.7%를 곱하면 1주당 배당금이 71원 정도로 계산된다.
그러니까 배당금을 많이 받으려면 구성종목 10개의 주가도 계속 올라야되고 배당율도 올라가야된다. 근데 은행주는 규제를 심하게 받는 업종이고 공무원 수준으로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하는 업종이기 때문에 주가와 배당율이 크게 오를 일은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다.
상상해보자. 기업은행이 갑자기 전세계에 수출이 되는게 가능할까? 아니면 모든 사람들이 기업은행만 이용하는 날이 올까? 세상이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걸 깨달으면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은 쉽게 구할 수 있다.
관련 정보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 top10 배당금으로 먹고 살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