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대출 단점 및 해결 방법 3가지

2금융권은 은행법을 적용받지 않은 금융기관을 얘기하는데, OK저축은행 같이 상표때문에 오해가 살 수 있지만 법적으로 은행이 아니다. 우체국도 여기에 해당하는데 대출상품이 없다는 게 좀 의아할 것이다. 핵심은 정보가 부족해서 단점으로 다가온다는 것.

단점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영업하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낮고 이자가 높은게 치명적인 단점이다.

이게 2금융권이 단순히 위험한 기관이라서 그런게 아니라 설립 목적이 서민금융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영업 대상이 한정적이라서 그런 것이다.


마지막으로 저축은행 이미지가 1금융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안좋다는 인식이 강한 것도 문제다. 사실 우체국, 농협, 새마을금고도 2금융권에 해당하는데 오히려 1금융권에 비해서 안전한 상품들이 많다.

이런 점들을 극복하고서 금융생활을 편안하게 하려면 금융기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걸 좀 제대로 알고나면 은행 건물을 지나갈 때마다 좀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해결 방법 3가지

1. 2금융권 순위 확인

은행이라고 하면 사기업이라고 생각을 안하는 분들이 많은데 여기도 우리가 다니는 회사랑 똑같이 돈버는 곳이다. 이자 장사가 대표적이다.

그래서 주식 투자하는 것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어떤 은행이 우량한지, 돈 관리를 잘하고 있는지 이런걸 보는 것이다.


기업을 평가하는 것이 핵심인데, 2금융권 기업 중에서 일부는 상장한 곳도 있고 아닌 곳도 있어서 좀 가려가면서 보기 바란다.

시가총액, 순수익, 자산 총액 이런걸 위주로 살펴보면 되겠다. 본 내용에서 나열하면 기관에 대한 오해를 살 수 있으니 각자 알아보기 바란다.

대부분 고객의 돈을 받아서 기업에 대출을 해주는 걸로 이자 장사를 하게 되는데, 어디에 투자를 했는지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물론 100% 확실한 건 없다. 근데 보통 대출 금리가 3개월이나 6개월 단위로 변동을 하게 되는데, 우량한 은행일수록 그 변동 폭이 심하지 않다. 이건 불변의 진리이다.

2. 이자 변화 이력 확인

사실 2금융권 순위를 확인하는건 근본적인 얘기이고, 해당 기관이 우량한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이자율이다.

현재 이자율을 보는 것도 좋긴 한데, 저축은행 같은 경우에는 수시로 급격하게 변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과거 이력도 함께 보는 걸 추천한다.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 사이트에 들어가면 은행별로 공시해놓은 금리를 싹 다 확인할 수 있다.

내가 직접 조회를 해보니까 BNK저축은행 같은 경우에는 23년 1분기에 평균금리가 13.8%였다가 2분기에 갑자기 12.8%로 떨어지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신용점수가 낮은 사람들은 변화폭이 더 커지니까 이걸 꼭 참고해서 은행을 선택하는게 좋을 것 같다.

3. 정책 상품

1금융권에서 마이너스통장 한도가 잘 안나오는 사람들은 2금융권으로 올 필요도 없이 새희망홀씨 상품을 이용하면 된다. 심사가 좀 까다롭긴 한데 그게 뭐가 중요하나?

그리고 2금융권 저축은행에서 사잇돌2라는 정책 상품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게 중저신용자를 위해서 나온거라서 일반 신용대출 알아보기 전에 무조건 상담받아야 하는 부분 중 하나이다.


정책 상품은 제출할 서류도 많고 즉시 나오는게 아니라서 좀 답답하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거 극복하고 2-3년 연장 잘해서 살림살이 나아진 분들 내 주변에 정말 많다.

한도는 둘째치고, 일단 금리 차이가 많이 나니까 당연한 결과이다. 그리고 그냥 마음 편하게은행에서 제시해주는 돈 덥썩 받아버리면 그 높은 금리의 절반 이상이 죄다 은행 수익이라는걸 잊으면 안된다.

쿠팡에서 제품 하나 살때도 할인 받고 사는 마당에 대출도 당연히 이렇게 해야되는거 아닌가?


다음으로 알아볼건 대출비교 플랫폼 활용하는 방법과 신용점수 관리하는 방법이다. 이 쪽 세계에게 발을 들였으니 무조건 알아야 하는 정보일 듯.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