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8월 1일부터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하나은행이 정부와 제휴를 맺고 단독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다른 은행은 안된다 잘 못하겠으면 오프라인 지점 방문하자. 근데 다 할 수 있으니까 걱정하지 말자. 멍청한 나도 했으니까.
계좌 개설 기간
8월 1일부터 22일까지 약 20일 정도만 계좌 개설을 할 수 있다. 아래 표를 참고하자. 나는 23년에 개설을 해서 혜택을 받아봤는데 일정이 다 똑같은 것 같다. 나라가 망하지 않는 한 해당 제도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신청 접수 | 소득 조사 | 대상자 선정·결정 | 계좌개설 및 지원개시 |
---|---|---|---|
· 복지로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 시군구 소득확인조사 | · 가입대상자 선정 · 결정 및 개별 안내 | · 가입자 통장 개설 · 본인 적립금 저축 |
5.1(수) ~ 5.21(화) | 6월 ~ 7월 | 8월~ | 8.1(목) ~ 8.22(목) |
제한 사항
청년내일저축계좌 자체는 계좌개설 20일 제한이 없다. 근데 이걸 만들려면 하나은행 입출금계좌를 만들어야하는데 이건 20일 제한이 있다. 최근에 다른데서 은행 계좌를 개설한 적이 있으면 20일 동안 아무것도 못한다는 뜻이다.
근데 너무 걱정하지 말자. 비대면으로만 개설이 안될 뿐이지 하나은행에 직접 방문하면 예외사유라고 해서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그리고 8월 1일부터 시작한다는걸 알고 있으니까 일정 맞춰서 조율하면 될 것 같다.
그리고 퇴사 계획이 있거나 12개월 미납을 한다거나 교육을 이수하지 않는다거나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하지 않는다거나 조만간 소득 요건이 초과된다고 하면 계좌가 자동으로 해지된다.
개설 준비물
신분증, 본인명의 스마트폰, 타은행 계좌 3가지.
타은행 계좌로 추가 인증 절차를 거치는데 이 때 뱅크샐러드 이용하면 훨씬 편하다. 여러 은행 쓰고 있으면 뱅크샐러드로 통합해서 자산 관리하는 걸 추천한다.
개설 절차
1. 안내 문자
복지로에서 자격 조회를 하면 심사 기간을 거치게 되는데 8월 쯤에 순차적으로 대상자 여부가 발표될 것이다. 그러면 복지로에서 안내 문자가 오는게 아니고 하나은행에서 합격 발표 문자를 보내준다. 계좌 개설하라고 얘기해주는 것이다.
2. 하나원큐 접속
하나은행 모바일 앱 '하나원큐'를 설치하고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치자. 다른 은행 자유입출금 계좌가 있다면 이를 이용해서 인증 가능하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아이디 비밀번호 다 된다.
3. 입출금통장 동시 가입
하나은행 입출금통장이 기존에 있고 없고 따라서 개설 절차가 두갈래로 나뉜다. 없는 경우에는 다행히 청년내일저축계좌와 동시에 가입이 가능하도록 만들어놨기 때문에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 같다.
가입할 때 잘 봐야되는게 우대 금리이다. 어찌되었든 내 돈을 은행에 빌려주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자를 잘 받는게 중요하다고 본다.
우대 금리 조건
- 급여 및 주거래 이체: 연 1.20%
- 주택청약종합저축: 연 1.00%
- 마케팅 동의: 연 0.50%
- 하나 합 서비스: 연 0.30%
입출금 계좌를 처음 만들 때 급여 통장 또는 주거래 통장으로 선택할 수 있으니까 어려울 것 없다. 기존에 입출금 통장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라면 모바일 앱에서 전환 신청 가능하니까 미리 해두고 청년내일저축계좌를 가입하자.
그리고 나머지 우대 금리 조건들은 그냥 도으이하거나 사용한다고 체크만 해주면 자연스럽게 적용되는거라서 어려울 것 전혀 없다.
하나 합 서비스는 뱅크샐러드 같은건데 나는 쓰는데 동의만 해놓고 잘 안쓰고 있다. 뱅크샐러드가 제일 편해.
다음은 하나은행 일반통장을 급여통장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