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중간에 소득 넘으면 정부기여금 어떻게 될까?

1년 단위로 소득을 최신화해서 기여금 규모가 조정된다. 소득에 따라서 기여금이 올라갈수도 내려갈수도 있다는 얘기. 만약에 연봉이 올라서 청년도약계좌에서 정해놓은 소득 기준을 넘으면 정부기여금은 쌓이지 않고, 은행 이자와 비과세 혜택 2가지만 받을 수 있다.

그러니까 계좌 해지 없이 만기까지 가입을 유지할 수 있다.

정부기여금 못받는 소득 기준

  • 근로소득만 있는 사람 : 연 6,000만원 초과
  • 근로, 사업 소득 등 모든 소득이 있는 사람 : 연 4,800만원 초과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소득만 있는 직장인한테 더 유리한 제도이다. 그래서 직장인인데 부업으로 사업소득을 단 1원이라도 발생시키는 사람들은 굉장히 불리해질 수 밖에 없다.

소득 넘으면 정부기여금 어떻게 될까?

당장 어제 연봉이 올랐다고 바로 최신화 되는건 아니다 가입일이 5월이라고 하면 매년 5월동안 소득 심사를 한다.

그러니까 지금 당장 연봉이 올랐어도 5월이 되기 전까지는 정부기여금에 아무런 영향이 없고 기존에 받았던 혜택 계속 받는 것이다.

그리고 5월에 소득 심사를 한다고 해서 연봉이 오른 것이 바로 적용되는게 아니다. 이 부분은 내용이 복잡하기 때문에 별도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은행 이자

은행 이자를 무시하면 안되는게 기본금리가 대략 4.5%에다가 각종 우대금리까지 다 포함하면 최고금리가 6%나 된다.

주식투자로 6-7% 수익률을 내는 것도 일바인들한테 힘든걸 감안하면 청년도약계좌는 굉장히 큰 혜택인 셈이다. 원금 손실없이 무조건적 수익을 안겨다주니까.

비과세 혜택

15.4%에 해당하는 이자소득세를 면제 받을 수 있는데, 5년을 꽉 채우지 않아도 3년만 채워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법안이 마련되고 있다. 아직 시행된건 아니니까 기다려봐야 할 듯.

2025 청년도약계좌 조건 쉽게 해석

2025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직장인 재테크 종류와 방법 (예적금, 주식, 채권, 펀드, 부동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