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신보험 필요한가?

내 주변에 보면 결혼하신 분들이 대부분 종신보험에 가입을 많이 하더라. 결혼 전부터 미래 대비책으로 꼼꼼하게 보는 경우도 봤다. 직업 자체가 위험한 일이 아니라고 해도 일단 집 밖에 나가는 순간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니까 보험이 필요하긴 하다.

1. 혹시나 모르는 위험 대비

당장 비싼 보험료를 매달 내는게 아깝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만약에 보험이 없는 상태에서 가족이 사망을 하게 되면 남겨진 가족들은 길거리에 나앉아야 한다.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한다고 생각을 해야된다. 당장 시청역 역주행 사건만 해도 그게 남일이 아닐 수 있다. 내가 항상 조심하면서 사는거랑 남의 불찰은 별개이다.

사실, 지킬게 많아지면 가입하라고 얘기안해도 자연스럽게 하게되어있다.

2. 만기 또는 해지 환급금

근데 문제는 갓 30살 되어서 결혼을 했는데 만약에 아무런 탈 없이 90세까지 평생 행복하게 잘 산다고 해보자.

그럼 60년 동안 보험료를 계속 내야되니까 아깝다고 느껴질 수 있다. 나도 그렇게 생각했다.

근데 요즘에 보니까 장기적으로 납입해야되는 부담을 없애려고 단기납 상품을 많이 내놓더라.

10년 정도만 납입만 하면 나중에 사망보험금을 받거나 지금 당장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환급금 가지고 연금전환도 가능하기 때문에 현금 유동성 확보하면서 동시에 1번에서 얘기한 위험 대비도 가능해서 좋은 것 같다.

2. 상속세 대비가 필요한 경우

상속세 문제도 해결해준다. 본인과 자녀 관계를 생각하기에 앞서서 본인과 부모와 당장 상속세 얘기를 하게되기 때문에 관심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부모님이 본인한테 물려줄 재산이 1억 넘게 있다고 하면 상속세를 절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종신보험 가입밖에 없다.

2가지 경우가 있는데, 하나는 본인이 부모님의 사망보험금을 물려받을 때 상속세를 내야되는데 이걸 안내도 되는 조건이 있다.

다른 하나는 사망보험금을 가지고 부모님이 물려주는 재산의 상속세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신보험 상속세 줄이는법 4가지

종신보험 혜택 비과세 환급금 연금전환 분석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