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결과 열람서비스, 통지서, 전화 문의 총 3가지 방법이 있다.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고, 추후 대응해야될 과정에 따라서 필요한 절차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서 사설재단 장학금을 받기 위해서 통지서를 제출해야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1. 소득분위 산정결과 열람 서비스
소득분위는 옛날 말이고, 지금은 학자금 지원구간이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학자금 지원구간 산정결과 열람 서비스라고 얘기해야된다.
장학금 심사 이후에 최종 확정 안내 문자를 수령받게 되는데, 이후부터 열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재단 홈페이지에 로그인해서 다음 경로를 이용해서 확인하자.
- 조회 경로: "장학금 > 학자금 지원구간 > 나의 학자금 지원구간 확인 > 로그인 > 산정 내역 확인하기
단순히 소득분위 결과만 확인하는게 아니라 본인과 부모의 소득과 재산 정보까지 세부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그래서 장학금 탈락 결과를 받았을 때 소득과 재산을 수정하기 위해 최신화 신청을 해야되는데, 이걸 준비하기 위해서 열람 서비스를 이용하는게 좋다.
예를 들어서 부모님이 예전에 소유했던 차량이 지금 없는데도 반영이 되었다면 최신화 신청을 거쳐서 재산 항목에서 제외시켜버려야 한다.
2. 통지서 발급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장학금 > 증명서 발급 > 학자금 지원구간 통지서 발급 > 발급하기
단순히 소득분위 결과만 확인가능하기 때문에 제출용으로만 사용하는 걸 추천한다. 횟수 제한없이 몇번이고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는데, 각 사설재단에 뿌려야하기 때문에 한번 발급할 때 여러장을 인쇄하자. 사본으로 만들어서 여러장 가지고 있어도 되긴 하는데, 서류 위조 여부를 확인할지 의문이긴 하다.
3. 전화 또는 방문 문의
한국장학재단 고객센터 대표전화는 1599-2000인데, 상담원 운영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나머지 ARS 전화는 365일 24시간 운영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상담원과 쉽게 연결될 수 있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심지어 장학금 탈락 사유로 전화를 할 경우에는 전화에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쉽게 해결이 안된다. 무조건 최신화 신청하라고만 답변을 하기 때문.
빠른 연결을 위해서 아래 ARS 단축 번호를 참고하자.
- 1번: 국가장학금 관련 문의
- 2번: 학자금대출 관련 문의
- 3번: 학자금 지원구간 관련 문의
- 4번: 대출상환 관련 문의
- 5번: 신용회복 관련 문의
- 6번: 우수장학/근로장학/인재육성 관련 문의
- 7번: 취업연계 지원사업 관련 문의
- 0번: 상담원 연결
방문 상담의 경우에는 재단 본사나 사무실로 가는게 아니고 지역별로 존재하는 상담센터로 가야된다. 아래 주소를 참고하자. 방문상담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가능하다.
- 서울청년창업센터: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6길 54
- 부산청년창업센터: 부산광역시 연제구 반송로 60 1층
- 대구청년창업센터: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23길 89 1층
- 광주청년창업센터: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442 1층
- 대전청년창업센터: 대전광역시 중구 계룡로 843 1층
- 경기지역센터: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로 152 디아이티빌딩 4층
- 강원지역센터: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효자동,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6호관 2층 214호
- 충북지역센터: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사직대로 362번길 20 3층
- 전북지역센터: 전라북도 전주시 백제대로 567(금암동,663) 전북대학교 (구) 정문
상담센터 위치는 상황에 따라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전화하고 방문하자. 서울청년창업센터도 예전에 장소가 바뀐 적이 있어서 혼란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