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기부금 안전하게 후원하는 방법

기부금을 후원하는 과정에서 2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어떤 기부 단체를 선택해야될지 고민된다는 점, 다른 하나는 그 단체가 돈을 제대로 쓰는지 의심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안전하게 후원하는 방법을 공유하겠다.

기부금 후원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1. 공공 기관을 통해서
  2. 민간 단체를 통해서
  3. 본인 직접

본인이 지자체에 직접 기부

해당 지역의 시,군,구청 아니면 동사무소에 연락해서 기부하고 싶다고 하면 아주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돈 준다는데 마다할 곳은 없다.

유일한 단점은 기부금 영수증이 발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영수증이 있어야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이걸 못한다. 물론 세금 공제 따위에 상관없는 분들은 신경쓸 필요가 없다.

세액공제 받고 싶으면 다음에서 소개하는 고향사랑기부제를 이용하자.

고향사랑기부제

행안부에서 운영하는 고향사랑e음 사이트를 이용하면 된다. 민간 플랫폼으로는 위기브, 놀고팜 등이 있다.

민간 플랫폼에 대해서 소개를 하면, 행안부가 정부24처럼 사이트를 직접 운영하려고 하니까 인력도 부족해서 힘이 든다. 그래서 입찰을 통해서 민간 플랫폼을 선정한 것이다.

프로젝트성으로 기부 페이지가 올라오는데 여기로 들어가서 기부하면 된다. 민간 플랫폼이 돈을 모아서 지자체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위기브 사이트에 들어가니까 메인화면에 산불 후원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배너가 떠있더라.

민간 기부 단체에 직접 기부하기

재난 관련해서 기부금을 모으는 민간 단체는 대표적으로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 대한적십자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이 있다.

천원 단위의 소액으로 기부하고 싶으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가서 전화 연결을 하면 된다. 연예인들은 몇천만원씩 기부하던데 나는 그정도는 안되서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전화로 기부했다.

민간 기부 단체에 대해서 신경쓰고 싶지 않은 경우

행안부에서 운영하는 1365기부포털을 이용하면 된다. 민간 기부 단체 중에서 사기 치는 곳이 있을 수 있는데, 행안부에서 사기 행위를 막기 위해서 정부에서 인증한 민간 기부 단체를 1368기부포털에 모아뒀다.

행안부에서 인증한 기부 단체에서는 기부금 모집 정보도 공유해야되고 기부금을 어디에 사용했는지도 공개를 해야되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얘기한 희망브리지, 대한적십자사 등도 해당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나오고, 굿네이버스 같은 곳도 다 마찬가지이다.

그러니까 민간 기부 단체는 정부로부터 인증받아서 활동을 해야된다고 법에 명시되어있다. 인증 못받은 곳은 사기 단체라고 보면 된다.

관련 정보

기부금 제대로 사용되는지 확인하는 방법

연말정산 환급금 받는 기준

연말정산 차감징수세액 플러스 이유 3가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