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납 종신보험 해지 환급률과 환급금 정확하게 계산하기

종신보험은 종류가 굉장히 많은데, 최근에 나온 상품이 저축성 느낌이 물씬 풍기는 단기납이다. 종류를 떠나서 환급률과 환급금을 언급하는 상품이 있으면 곧이 곧대로 보지 말고 아래에서 설명한대로 계산을 한번 해보기 바란다. 그래야 호구 안잡힌다.

환급률 수치에 대한 오해

요즘에 신생 상품으로 나오는 단기납 종신보험을 보면 환급률이 130%라고 홍보하고 있다. 환급률 130%는 10년 후에 내가 낸 보험료 원금과 더불어서 30%를 추가로 환급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주식 수익률로 계산해보면 3%밖에 안된다. 근데 10년 만기를 다 채워야 연수익 3%를 낼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주식이나 정기예금보다 조건이 까다롭다고 느껴진다.

환급금 계산하기

내가 납입한 보험료를 보험사가 잘 굴려서 투자수익을 낸다. 이 투자수익에서 설계사 수수료, 운영비를 뺀 나머지에다가 사망보험금으로 줄 돈을 더해서 환급금으로 돌려주는 것이다.

계산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투자 수익 – 사업비(설계사 수수료, 운영비 등) + 사망보험금 = 환급금

보험사는 고객한테 환급금을 무조건 줘야되는 입장이라 투자를 해서 무조건 수익을 내야된다. 당연히 공격적으로 투자할 수 없기 때문에 국고채 같은 안전한 곳에 투자한다. 당연히 수익률은 2-3% 안쪽일 수 밖에 없다.

투자대비 수익을 높이려면 돈을 많이 투자하든지 아니면 시간을 많이 투자해야된다. 세상에 공짜는 없음.

초기 환급금

중도에 해지를 하면 받게 되는 돈이 초기 환급금이다. 이 부분은 단기납 종신보험의 경우 일반 종신보험하고 비교할게 아니다. 일반 종신보험은 환급 자체가 거의 불가능한 상품이라서 논외로 하는게 맞다.

단기납 종신보험하고 비교해야될 건 변액유니버셜, 저해지 및 무해지 상품이다.

변액유니버셜은 중도에 해지하면 초기 환급금이 제일 적을 수 있다. 펀드와 보험을 섞어놓은 하이브리드 개념이라서 조금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기 때문에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서 그렇다.

저해지와 무해지는 중도에 해지하지 않을 경우에 더 큰 수익을 가져다주는 상품이기 때문에 중도에 해지하면 손해가 제일 크다.

그래서 초기 환급금이 가장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단기납, 변액유니버셜, 저해지 및 무해지 상품이다.

조언

환급률이나 환급금 같은 결과만 보지 말자. 상품들이 어떻게 굴러가는지 간단한 원리 정도만 알아도 세상에 공짜가 없다는걸 금방 눈치채게된다.

보험사가 땅파서 장사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국민연금처럼 납입만 하면 더 큰 수익을 무조건 준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관련 정보

종신보험 저축성보험 오해

단기납 종신보험 비과세 조건

단기납 종신보험 환급률 비교

Leave a Comment